선선한 가을 바람과 함께 찾아온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생생하게 일깨워주는 장소이다. 굽이진 길과 철조망, 경비초소를 지나 마주한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은 어린 자녀들의 단순한 가을 나들이를 넘어선 ‘안보 견학’의 의미를 부여한다.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절실함을 느끼게 하며, 더 이상 통일이 나와 무관한 먼 이야기가 아님을 실감하게 한다.
전망대 1층과 2층의 전시실은 분단 역사를 되짚어보고 현재를 성찰하며 통일의 미래를 조망한다. 특히 ‘그리운 내 고향’ 전시실에 전시된 5,000여 점의 실향민 그림들은 북녘 땅에 대한 그리움을 섬세하게 담아내고 있다. 3층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한 ‘통일의 피아노’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분단의 상징인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제작한 작품으로, 통일을 향한 염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가 상영된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개성 시내, 북한 마을의 논밭과 건물이 육안으로 확인될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날씨가 맑을 때는 개성 시내와 송악산, 개풍군 마을 일대,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관찰할 수 있어 북한이 가장 잘 보이는 전망대 중 하나로 꼽힌다. 서울 도심에서 차로 약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며,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망원경을 통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개성 주민의 일상을 엿보는 경험은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분단의 현실을 더욱 명확하게 와닿게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러한 분단의 현실 속에서,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통일 정책이 더 이상 먼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삶과 연결된 구체적인 계획임을 보여준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은 남북협력기금 1조 25억 원을 포함하여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에 배분된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새롭게 포함됨으로써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보고, 느끼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산은 인도적 문제 해결(약 6,810억 원), 경제협력 기반 조성, 사회문화 교류, 국민 공감 확대 등 네 가지 주요 분야로 나뉜다. 인도적 문제 해결은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경제협력 기반 조성은 교류 협력 보험 및 대출 등을 통해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둔다. 사회문화 교류는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이 소규모로 반영되었으며, 국민 공감 확대는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예산 항목이 단순한 ‘정책 사업’을 넘어 국민들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은 국민 공감 사업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에게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 반액 할인이라는 ‘DMZ 연계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이는 정부 예산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자연스럽게 함양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의 증액과 신규 사업은 기대를 모으기에 충분하며, 특히 인도적 지원, 경제협력, 통일 문화 및 국민 체험 사업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킬지가 궁금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예산이 책상 위 정책으로만 머무르지 않도록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 주민 및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이 함께 작동하여 “체감되는 정책”으로 구현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화창한 날씨 속 청명한 하늘처럼, 오두산 통일전망대가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이 되듯, 정부 예산이 이러한 공간들을 지원하는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