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나날이 빨라지면서, AI는 이제 제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드웨어에 탑재된 AI는 산업 현장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국가 경쟁력과 미래를 결정짓는 전략적 요소로 부상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우리나라는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제1회 산업 AI 엑스포’는 이러한 흐름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장이었다.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100여 개 국내 기업이 참여하여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다양한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엑스포는 AI가 제조업 분야에서 보여줄 혁신적인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엑스포 현장에서는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 도슨트 투어’가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투어는 AI 개발의 필수 기반인 고성능 워크스테이션부터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 및 운송 로봇에 이르기까지 총 6가지 코스로 구성되어, AI가 산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맞춤형 GPU를 탑재한 데스크톱을 선보이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모빌린트는 기존 GPU보다 AI 연산에 훨씬 최적화되어 전력 비용을 60% 절감할 수 있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소개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는 에이 로봇의 ‘에릭스’가 주사위 게임과 물통 전달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참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고 복제하는 시연으로 AI의 활용도를 증명했다.
현장 적용 사례로는 스포티가 개발한 로봇 팔용 AI가 돋보였다. 이 AI는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정확하게 체결하는 기술을 시연하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농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블루베리 운송 로봇 ‘일로’는 AI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임을 제시했다.
AI는 제조 전 과정에 적용되어 생산 부품을 최적화하고, 품질을 예측하며, 안전을 미리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과 결합한 AI는 사무실에서 공장의 모든 설비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하여 현장 설비의 실시간 생산 상태와 불량 이미지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과 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있었다.
이처럼 AI는 이미 우리 산업 현장에 깊숙이 들어와 인간의 판단을 돕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문제 해결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산업 AI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이번 산업 AI 엑스포를 통해 AI가 보여줄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9월 8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는 AI를 국가전략 기술로 지정하고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수립을 통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와 국가적 지원이 더해진다면, AI는 한국 산업의 미래를 더욱 밝게 비출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