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소비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예상치 못한 혜택이 최근 대한민국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대만에서 영수증을 복권으로 활용하여 탈세 방지 및 소비 촉진 효과를 거두는 제도를 접한 경험은, 국민들의 지갑을 열게 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정부 정책에 대한 상상으로 이어졌다. 이제 이러한 상상이 ‘상생소비복권’이라는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되어, 국민들에게는 추가적인 혜택을, 경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민생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상생소비복권’은 국민들의 실질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내수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정책은 영수증 자체가 복권이 되는 방식은 아니지만, ‘상생페이백’ 제도와 연계하여 소비자들이 더욱 의미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생소비복권’은 ‘상생페이백’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으로 응모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응모 자격은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누적 결제액을 기준으로 하며, 5만 원당 1장의 복권 쿠폰이 지급된다. 1인당 최대 10장까지 응모가 가능하며, 총 2,025명을 추첨하여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억 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당첨금 지급 방식은 1등 10명에게 각 2천만 원, 2등 50명에게 200만 원, 3등 600명에게 100만 원, 4등 1,365명에게 10만 원이 지급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1등 당첨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에서 5만 원 이상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수도권에서만 소비한 경우에는 2등부터 4등까지의 당첨 기회만 주어지므로,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정책의 취지를 고려할 때 비수도권 지역 소비에 대한 인센티브가 강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생소비복권’의 사용처가 제한된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내수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기에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거래,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 사용한 금액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는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 업체를 이용하도록 유도하여 실질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는 정책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지난 7월부터 시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또한 국민들의 소비를 촉진하는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1차에 이어 9월 말 2차 신청을 앞두고 있으며, 이번 2차 지원에서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러한 소비쿠폰 지급은 국민들의 직접적인 소비 여력을 확대하고,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상생소비복권’을 포함한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들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소비를 유도하고, 나아가 내수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분명한 의지를 보여준다. 어차피 해야 할 소비라면 이러한 정책적 혜택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현명한 소비자의 자세일 것이다. 올가을, 국민들의 마음과 대한민국 경제 모두 풍성한 결실을 맺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