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평시보다 73.8% 증가한 5만 6151건의 상담을 처리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주력했다. 특히 연휴 기간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는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이 204명(60.4%) 보강되었으며, 수보대도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되어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운영되었다.
문제의 심각성은 연휴 기간 동안 병원 문이 닫거나 운영 시간을 단축하는 경우가 많아 응급환자가 적절한 시기에 진료받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했다. 단순히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에 그치지 않고,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에게는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 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등 맞춤형 정보를 제공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위급상황 발생 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북에서는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 두 명을 서울·경기 지역 병원으로,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 역시 같은 지역 병원으로 소방헬기를 이용하여 긴급 이송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또한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 응급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는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원활하게 만들었으며, 결국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 응급환자의 소생에 크게 기여했다.
소방청은 현재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고 밝히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 이송 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제도 개선과 정책 추진은 응급환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최적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