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문화 향유의 기회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국립극단은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으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새로운 거리예술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한낮의 명동극>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진다. 이 프로그램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이는 시간을 내어 공연장을 찾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관광객, 혹은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에게도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우리나라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이번 <한낮의 명동극>을 포함하여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기치 아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취지를 잘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과 함께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췄고,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바라보던 이들은 점차 공연에 몰입했다. 무대 위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는 등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상호작용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 맥을 같이하며,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잠재적 관객층을 확대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공연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한낮의 명동극>의 남은 공연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는 9월 24일과 10월 29일에 관람할 수 있다.
나아가, 국립극단의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전국적으로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다채로운 문화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쁜 현대사회의 시민들에게 이러한 작은 문화적 경험들은 일상 속 소중한 쉼표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