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에 머무는 동안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했던 시민들이 지역에서도 풍성한 공연 및 전시를 접할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바로 정부의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 정책 덕분이다.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된 이번 할인쿠폰은 1차 시범 운영 당시 높은 호응을 얻었던 만큼, 2차 발행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기존의 전국 단위 할인쿠폰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을 위한 전용 할인권이 추가되어 지역 문화 향유 기회를 더욱 넓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문화 향유 접근성에서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에서는 고품질의 공연이나 전시를 접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존재하며, 실제로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나 할인 혜택이 부족하여 문화 활동 참여에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173만 장의 공연·전시 할인쿠폰을 재배포하며 이러한 문화 격차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전국 단위 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지역 거주자들을 위한 별도의 할인권을 제공한다. 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 큰 폭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공연의 경우 1매당 15,000원, 전시는 5,000원의 할인이 적용된다. 이는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 예술을 더욱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이다. 다만, 이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일부 예매처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발급 및 사용할 수 있으며,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쿠폰은 유효기간 만료 시 자동 소멸된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쿠폰의 효율적인 사용을 독려하고, 보다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통해 지역에서도 수준 높은 전시를 부담 없이 즐긴 사례가 있다.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은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덕분에 입장료 부담을 크게 덜고 관람할 수 있었다. 이 전시에서는 뱅크시의 대표작인 석판화 기법의 작품들과 ‘풍선을 든 소녀’의 분쇄 과정을 담은 영상, 그리고 그의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다양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었다. 또한, 뱅크시의 사회 참여 활동인 디즈멀랜드와 우크라이나 건물 잔해에 남긴 작품 등을 통해 그의 예술 세계를 폭넓게 조명하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이처럼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특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지방에서도 수준 높은 문화 콘텐츠를 향유할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역 문화 거점을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말하고 나누는 계기를 마련하는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이러한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문화 향유 격차가 줄어들고, 전국 어디서나 풍요로운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