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전반의 소비 심리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9월 진행된 ‘동행축제’ 행사를 통해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일시적이나마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이는 단순히 행사 기간의 매출 집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의 판매액까지 포함한 수치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으로의 자금 순환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동행축제는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지원하고자 전국 단위로 기획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다. 특히 9월 축제는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채로운 이벤트를 통해 소비 심리 회복을 도모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이번 축제는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소비 회복 및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아, 전체 오프라인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 지역이 24%를 차지하도록 비중을 늘린 것이 특징이다. 제주에서 열린 개막식은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며 성황을 이루었고,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는 이틀간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 역시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온누리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상생하는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 밖에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가 주목받았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과 캐시백,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동참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소비 회복 지원에 힘을 보탰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과는 침체된 내수 시장에 단비가 되었지만, 지속적인 소비 활성화를 위해서는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며,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양한 소비 혜택을 통해 국민들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는 단순히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