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 언론의 문화비평란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단순한 한류 현상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전용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록적인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는 이 작품은 한국 문화산업이 제작했더라면 실현하기 어려웠을 극강의 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산업이 제작했더라면 실현하기 어려웠을 법한 매력적인 캐릭터와 독창적인 세계관을 선보이며 기존 한류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다.
이는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굿즈 매장 ‘뮷즈샵’에서 품절 사태를 일으켰던 까치 호랑이 배지가 재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케데헌’을 비롯한 K콘텐츠의 흥행과 여름방학 시기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전통적으로 한류는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인기를 지칭하며 파생되는 문화간, 국가간 커뮤니케이션과 문화적 동력을 의미해왔다. <케데헌> 역시 이러한 한류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한국이 직접 제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이 글로벌 문화가 로컬 콘텐츠를 차용하여 재창조한 사례로 볼 수 있다.
특히 <케데헌>은 북미의 한인 2세 정체성을 지닌 원작자와 제작자들이 다수 참여했다는 점에서 애플 TV의 2022년작 <파친코>와 유사한 맥락을 공유한다. <파친코>가 일제강점기 조선과 일본을 배경으로 한 3대에 걸친 가족 이야기를 실사 드라마로 구현했다면,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오랜 무당 서사와 케이팝이라는 현대적 대중문화를 결합하여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무대로 애니메이션의 서사를 펼쳐낸다. 실사 드라마가 한국으로의 여행 수요를 직접적으로 견인하지 못했던 반면, <케데헌>은 서울을 노스텔지어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여행지로 각인시키며 관광객을 불러들이는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케데헌>의 개봉 당시 디즈니의 가족용 뮤지컬 영화들과 비교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케데헌’이 보여준 반복 시청과 싱어롱(sing-along)을 유도하는 매력은, 경쟁자가 없었던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삽입곡 시장에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이 크게 작용했다. 소니는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귀마’ 사냥꾼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구현했으며, 제작진은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텍스트 전략,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의 파급력을 효과적으로 결합했다.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으로 작용했던 비서구인의 신체적 제약을 벗어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동안 케이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로 인해 팬덤 영역에 머무는 경향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완화하거나 완전히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으로 표현된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는 인종주의적 복잡성을 배제한 채 전 세계 시청자들이 공감하고 코스프레하기 쉬운 캐릭터로 탄생했다. 이는 현재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진전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산업의 발전과 맞물려, <케데헌>의 캐릭터들이 세계관을 구축하고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케이팝 문화에서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는 유사해 보이는 그룹들 사이에서 차별화된 정체성을 부여하고, 팬들이 탐구해야 할 텍스트의 깊이를 더함으로써 적극적인 팬 활동을 유도한다. 오늘날 가치 지향성이 중요해진 글로벌 문화 환경 속에서, ‘자아 발견 공주 이야기’를 반복하는 디즈니, ‘개인 성장형 모험 스토리’를 제공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세계를 구하는 우주 대전쟁’을 펼치는 DC와 마블 유니버스와 비교할 때, <케데헌>에서 인간 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의 주인공들과 함께 등장하는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 및 보이그룹은 이국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 가능한 ‘케데헌’의 서사는 동시대적으로도 ‘헌터스’의 세계 투어 중 로컬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라인을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의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에 더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부각시킨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든 ‘케데헌’은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한국인의 경험을 통해 세계사를 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요구한다. <케데헌>은 이러한 새로운 세계로의 문을 열어젖히며 한류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