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개선된 성장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 전반의 하방 압력과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이러한 긍정적 전망이 현실화될 수 있을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IMF는 최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높은 0.9%로 예측했다. 더욱이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대폭 상향된 1.8%로 전망하며, 7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한국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의 배경에는 세계 경제의 긍정적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상향한 3.2%로 예측했으며, 내년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견조한 흐름은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선진국 그룹의 성장률 역시 개선세를 보였다.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보다 0.1%p 높은 1.6%로 수정되었으며, 내년에도 1.6%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 전망치를 0.1%p씩 상향 조정하여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성장률을 0.1%p 높여 4.2%로 전망했으며, 내년은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지난 7월 전망 수준인 4.8%와 4.2%를 유지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 역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IMF는 글로벌 물가상승률이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다만,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언급했다. 따라서 IMF의 긍정적인 성장률 전망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리스크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잠재적 성장 동력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