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있어 잠재적인 어려움과 과제가 존재한다. 최근 김민석 국무총리가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재 87개국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 이는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주는 방증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고, 문화 공유 및 미래를 이끄는 언어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축사를 통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어의 정확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제고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 문화 콘텐츠를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세종학당의 지속적인 확대 계획을 발표하며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언어 학습의 기회를 넘어, 한국 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은 한글의 실용성과 창의성을 산업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통해 한국 문화의 파급력을 더욱 증대시키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정보 자원 구축 확대는 미래 기술 발전과 한글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 추진은 한국어와 한글이 가진 고유한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를 통해 K-문화의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빛나는 지적 성취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백성을 향한 세종대왕의 사랑과 혁신의 정신이 담긴 결과물로서, 인류애의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의 위대함을 바탕으로 문화 공유 및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세종학당 확대 및 한글 활용 상품 지원 등 실질적인 정책들을 추진한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전 세계적으로 더욱 깊이 뿌리내리고 K-문화의 지속적인 확산을 견인하는 강력한 동력이 될 것이다. 또한, 이번 APEC에서 ‘초격차 K-APEC’을 목표로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 준비는 이러한 문화적 자신감을 국제 사회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