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기록적인 흥행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문화 소비 현상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어떻게 창의적으로 재해석하고 전파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혁신적인 사례로 분석된다.
‘케데헌’이 등장하기 전, 한류는 한국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과 이로 파생되는 문화적, 국가 간 커뮤니케이션 동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케이팝’을 중심 소재로 삼은 ‘케데헌’ 역시 이러한 한류 현상의 연장선상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주목할 점은 한국이 직접 제작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이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차용하는 사례와 맥락을 같이한다.
특히 ‘케데헌’은 북미에 거주하는 한인 2세 정체성을 지닌 원작자와 제작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서 애플 TV의 ‘파친코’와 유사한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파친코’가 3대에 걸친 가족사를 그린 실사 드라마로서 일제강점기 조선과 일본을 배경으로 한국 배우들을 대거 기용한 것과 달리,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오랜 무속 서사와 현대적인 케이팝을 결합하고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배경으로 애니메이션 서사를 펼친다. ‘파친코’의 세트장에서 재현된 과거가 직접적인 여행 욕구를 자극하지 못했다면, ‘케데헌’이 그려낸 서울은 향수와 호기심을 동시에 자극하며 잠재적인 관광객들을 불러들이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케데헌’의 또 다른 성공 요인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의 효과적인 활용에 있다. 소니는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캐릭터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구현해냈다. 제작진은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전략적 텍스트 구성과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이 가진 강력한 힘을 효과적으로 결합했다.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탈식민적 세계화에서 흔히 마주치는 비서구인의 문화적 장벽을 낮추거나 제거하는 역할을 했다. 그동안 케이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로 인해 팬덤의 영역에 머물러왔지만,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허물어 인종적 복잡성을 넘어선 보편적인 매력을 제공하며 전 세계 시청자들이 쉽게 공감하고 코스프레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현재 플레이브,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문화는 성숙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케데헌’의 헌터스나 사자보이즈는 단순한 캐릭터를 넘어 하나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케이팝 문화에서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는 그룹의 정체성을 차별화하고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이다.
현대 글로벌 문화 환경은 가치 지향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케데헌’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은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른다. 자아 발견 공주 이야기를 반복하는 디즈니, 개인 성장형 모험 스토리를 제공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거대한 우주 전쟁을 다루는 DC와 마블 유니버스에 비교했을 때, 인간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 주인공과 이를 둘러싼 걸그룹, 보이그룹의 이야기는 이국적이면서도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케데헌’의 서사는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헌터스가 세계 투어 중 현지의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를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으로 파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확장성에 더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운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든 ‘케데헌’은 글로벌 문화와의 효과적인 ‘문화적 중재’를 가능하게 했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한국인의 경험을 통해 세계사를 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다. 이는 한류 현상을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케데헌’은 이제 한류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문을 활짝 열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