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들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 앞에 놓여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 정화, 식물의 수분 매개, 먹이사슬 유지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곤충들은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며 개체 수가 급감하는 등 심각한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이는 단순히 곤충만의 문제가 아닌, 생태계 전반의 붕괴를 넘어 인류의 미래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 생태계의 위기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개최되는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약 4억 년 전부터 지구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들이지만, 현재 겪고 있는 기후변화는 이들의 적응력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북쪽으로 이동하는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 서식지를 확장하는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 등 변화에 적응하는 종도 있지만,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는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 등의 사례를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 고유종의 멸종 위기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이들이 사라질 경우 전 세계에서 영영 볼 수 없게 된다. 이는 곤충의 변화가 곧 인류가 직면한 기후변화 위기의 경고임을 시사한다. 곤충이 겪는 생존 문제는 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도 상승이라는 근본적인 원인에서 비롯된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이는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져 전 지구적인 환경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에 맞서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실천이 시급하다. 국립과천과학관의 곤충 기획전은 이러한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람객들에게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일상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개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여 곤충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지구의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류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떠올리며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귀중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