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의 넓은 갯벌은 그동안 낚시꾼들에게 불편한 존재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해양경찰청이 새롭게 선보인 해양환경 온라인 교육 플랫폼 ‘하이 블루카본’은 이러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다. 갯벌이 단순한 진흙 바다가 아니라, 지구 온난화를 막는 강력한 탄소 저장고이자 철새들의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의 뷔페’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갯벌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갯벌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고 해양환경 보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해양경찰청은 지난 9월 2일 민·관 협력을 통해 ‘하이 블루카본’ 누리집(hibluecarbon.kr)을 개설했다.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 등 다양한 기관과 지자체가 힘을 합쳐 만든 이 플랫폼은 풍성한 콘텐츠를 자랑한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디지털로 만나는 블루카본’ 코너다.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으면 화면 속에 고래가 나타나는 증강현실 체험을 통해 집에서도 갯벌의 생태계를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또한 ‘탐험대장 노을이’라는 AI 캐릭터는 음성과 텍스트로 염생식물의 특징과 중요성을 설명해 주며,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흥미롭게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꼬마 해홍이’와 함께하는 디지털 생태 놀이터에서는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는 해양 생태계의 능력을 배우고, 바다가 수백 년간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사실에 갯벌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하이 블루카본’은 갯벌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데도 기여한다. 갯벌이 ‘철새의 먹이터’라는 점을 강조하며, 생물 다양성과 기후 위기 대응에 필수적인 ‘보고’임을 알려준다.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이 세계 5대 갯벌에 속한다는 사실은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요소다. 퉁퉁마디,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이 짠 환경을 이겨내며 갯벌 생태계를 지탱하는 ‘숨은 영웅’이라는 설명은 갯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는다.
‘배움자료 살펴보기’ 메뉴에서는 염생식물 세밀화 엽서와 교안, 영상을 제공하여 교육 현장에서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나도 해양환경 보전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직접 남길 수 있는 환경 서약 코너다. 비록 온라인 체험 신청이 아직 열리지 않아 아쉬움이 남지만, 이러한 참여형 콘텐츠는 국민들의 해양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을 실천으로 이어지게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 웹사이트의 진정한 의미는 민·관 협력의 결실이라는 점에 있다. 해양경찰청은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과 협력하고,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월드비전 등 민간 기업·단체와도 손잡고 염생식물 파종 및 군락지 조성과 같은 현장 복원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인천 소래습지, 부안 줄포만, 광양 섬진강 하구 갯벌 등 서해안 일대 약 2만 평 부지에서 칠면초·퉁퉁마디 등 염생식물 100kg을 파종하는 등 ‘블루카본 보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러한 노력은 탄소흡수원 확대와 해양생태계 복원을 동시에 추구하며, 해양환경 보전을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천 가능한 정책으로 만들고 있다.
결국 해양환경 정책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생활과 습관에서 출발해야 한다. ‘하이 블루카본’은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호 약속을 제시하며, 해양환경 보전의 첫걸음을 디지털 공간에서 열어주는 중요한 모델 역할을 하고 있다. 해양은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을 위한 핵심 자원이므로, 그 가치를 지켜내기 위해서는 정책과 더불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