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소폭 상승한 수치이다. 내년 성장률 역시 1.8%로 유지하면서, 한국 경제가 잠재 성장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이 수치는 여전히 한국 경제가 낮은 성장률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된 수치이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 속에서도 한국 경제의 성장률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는 대외적인 경제 환경 개선만으로는 한국 경제의 활력을 되살리기 어렵다는 방증이다.
IMF는 이러한 한국 경제의 저성장 배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한국 경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무역 불확실성과 생산성 문제는 한국 경제의 경쟁력 약화와도 직결되는 만큼, 이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물론 IMF는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요인들이 한국 경제의 낮은 성장률을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처럼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처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동시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단순히 세계 경제의 흐름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한국 경제 자체의 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구체적이고 과감한 정책 추진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