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어 노후 생활에 잠재적인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일본이나 미국의 선진국 가계 자산 구조와는 현저히 대비되는 모습으로, 부동산 가격 하락 시 큰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75%는 부동산에 치우쳐 있으며,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하다. 이는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세대 가구의 경우, 자산의 80~90%가 부동산일 정도로 그 편중 현상이 더욱 심각하다. 반면, 일본과 미국에서는 가계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비중은 30~4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 자산 구조가 일본, 미국과 정반대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부동산 편중 현상은 통계상으로만 보면 가계 순자산이 일본보다 많아 보이는 착시 효과를 유발한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주요국의 구매력평가환율로 계산한 가구당 순자산 통계에서 우리나라는 62만 달러(약 8억 4800만 원)로 일본의 52만 2000달러(약 7억 1400만 원)보다 많았다. 시장환율로 계산한 순자산 역시 우리나라가 44만 3000달러(약 6억 6000만원)로 일본의 42만 1000달러(약 5억 7600만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자산의 질적인 측면보다는 양적인 측면에만 집중된 결과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나라의 토지 자산 가치가 일본과 비교했을 때 과도하게 높다는 사실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토지 자산 규모는 1경 2093조 원에 달했다. 이는 남한 면적의 약 4배에 달하는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당시 환율 기준 약 1경 1593조 원 ~ 1경 2941조 원)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즉, 현재 우리나라 땅 한 평의 가격이 일본 땅 네 평의 가격과 맞먹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1980년대 후반 일본에서 겪었던 극심한 부동산 버블 시기와 비교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으로 인식된다. 당시 일본은 도쿄만 팔아도 미국 전체를 살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지만, 이후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장기적인 부동산 가격 하락을 경험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내 집 마련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어 “집 없으면 어때? 빌려 살면 되지”라는 인식이 강하다. 수억 원의 금융자산이 있어도 집을 바로 사기보다는, 융자를 받아 집을 마련하는 것과 금융자산을 다른 곳에 활용하는 것을 냉정하게 비교하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 반면, 우리나라는 가진 돈이 적더라도 융자를 통해 무조건 집을 사야 한다는 분위기가 여전히 지배적이다.
이러한 부동산 편중 자산 구조는 고령화와 저출산이 더욱 심화되고 경제 불황이 장기화될 경우, 일본이 겪었던 부동산 가격 하락의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 있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 구조는 노후생활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경고하며,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원칙을 지킬 것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은 무엇인가?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르기 때문에 재산을 한 곳에 집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강 대표는 “갖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부동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궁극적으로 퇴직 무렵에는 선진국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절반 정도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또한,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것은 특히 조심해야 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자산관리 원칙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임을 명확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