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사회에서 외래어 사용이 급증하며 우리말의 본질을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보존하기 위한 대학생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다.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 공공언어 개선에 앞장섰다.
이번 기념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내 피크닉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우리말을 제대로 배우고 친숙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가장 주목받았던 프로그램 중 하나는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였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지도 위에 자신이 아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직접 적어 넣으며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실감했다.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지역 특색을 담은 단어들이 소개되었고, 대전에도 사투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는 참가자들도 있었다. 이 부스를 통해 참가자들은 쉽고 재미있게 지역별 사투리의 풍부함을 알아갈 수 있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원하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며 캘리그라피처럼 표현하는 활동에 참여했다. 오랜만에 순우리말을 깊이 들여다보며, 이러한 경험이 우리말을 배우기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더욱 유익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이 진행되었다. 몇 차례 틀려도 성공할 때까지 기회가 주어져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었다. 정답을 맞힌 참가자에게는 우리말 가꿈이 전용 휴대용 물티슈가 제공되었다. 또한,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글에서 ‘한’의 뜻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많은 참가자들이 1번 ‘크고 으뜸 되는’을 선택하며 정답을 맞혔다. 어릴 때부터 한글을 사용해 왔지만 단어 자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등 실생활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대체하는 훈련이 이루어졌다. 난이도가 높은 문제들도 있었지만, ‘가꿈이’들의 힌트 덕분에 참가자들은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우리말 표현을 익히고 앞으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외래어를 얼마나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대부분의 말을 우리말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라움을 표했다.
참여자들은 운영 부스에서 총 5개의 도장을 모두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혜택도 누렸다. 행사장을 방문한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어린이를 위한 행사라고 생각했지만, 예상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참여하기 좋은 행사임을 느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한, 올림픽공원이라는 넓은 장소에 행사가 마련되어 있어, 기념행사 참여 후 가볍게 산책을 즐기기에도 좋다는 평가가 있었다.
<우리말 가꿈이>의 노력은 이번 한글날 기념행사에 그치지 않는다.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10월 한 달간 다채로운 형태의 체험과 홍보 부스가 운영될 예정이니, 관심 있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기대된다. 다만, 행사 장소 및 날짜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하루빨리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라며, 내년에 돌아올 한글날을 다시 한번 손꼽아 기다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