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숨겨진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시도가 있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가 열린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문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제시하고, 나아가 개인의 정체성 탐구와 사회적 연결을 돕는 데 주목했다.
행사의 첫 단계는 ‘탐색의 방’이었다. 이곳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자신만의 문화 성향을 찾는 시간을 가졌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을 찾도록 유도하는 과정은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구성되었다.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이나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이 청년들이 공감할 만한 구체적인 선택지로 제시되었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의 취향을 잃어버리기 쉬운 청년들에게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하며 문화 취향을 수집할 기회를 제공했다.
이어지는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익명으로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제출하고, 다른 사람이 제출한 고민이 담긴 종이를 받아보는 방식으로 소통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을 받은 참가자는 자신의 극복 경험을 작성하며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다른 사람의 고민을 마주하며 나만 힘든 것이 아니라는 동질감과 안도감을 느꼈다. 낯선 이의 고민이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는 경험은 연결의 힘을 실감하게 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바탕으로 직접 활동을 연결하는 현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가 참여하여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정책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토크콘서트에서는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가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처럼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을 문화로 연결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행사는 청년 정책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