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키지의 작은 글씨로 표기된 정보 때문에 소비자들이 겪는 불편함이 새로운 디지털 정책으로 해결될 전망이다. 과거에는 제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작은 글씨를 돋보기로 보거나 눈을 가늘게 떠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러한 정보 가독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확대하며 소비자 편의 증진에 나섰다.
‘화장품 e-라벨’은 제품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소비자는 제품 패키지 뒷면의 QR코드를 스캔하면 휴대폰으로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품명, 영업자 상호, 용량, 제조 번호, 사용 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글자 크기가 확대되어 제공되며, 안전 정보, 사용법, 보관법,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내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포장 면적을 차지하던 작은 글씨 정보를 대폭 축소하여, 소비자에게는 정보를 읽기 쉽게 제공하고 제조사에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에는 좁은 면적에 필수 표기 정보를 모두 집어넣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e-라벨 도입으로 이러한 단점을 개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부혁신 실행계획에 따라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실시한 데 이어,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결과, 2025년에는 제품군을 더욱 확대했다. 2차 시범 사업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기존에 포함되지 않았던 제품군을 포함하여 13개사 76개 품목이 추가되었다. 이처럼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화장품 e-라벨’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QR코드만 있으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효기간 또한 없다는 이점을 가진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소비자는 화장품 구매 시 트러블 유발 가능성이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성분 등을 더욱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모든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이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을 더욱 높일 전망이다. 궁극적으로 ‘화장품 e-라벨’은 작은 글씨라는 장벽을 허물고 소비자와 제조사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