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한국 사회에서 치매가 개인과 가족의 삶을 덮치는 그늘은 점점 짙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는 약 100만 명에 달하며, 2030년에는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단순히 기억을 잃어가는 질환을 넘어, 가족의 일상까지 흔드는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매년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기념하며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환자와 가족을 위한 연대를 다짐하고 있다.
치매 환자와 가족이 가장 먼저 기대는 곳은 전국 256곳에 운영 중인 치매안심센터다. 이곳에서는 무료 검진, 인지 재활, 가족 상담, 환자 돌봄 지원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맞춤형 사례 관리 모델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개인의 생활 방식, 가족 구조,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세밀한 관리가 가능해졌다. 더불어 센터 내 ‘쉼터’ 운영 대상이 기존 인지지원등급 환자에서 장기요양 5등급 환자까지 넓혀져, 24시간 돌봄의 고통을 겪는 보호자들에게 잠시나마 숨 돌릴 틈을 제공하고 있다.
기자가 직접 경험한 취재 과정은 치매 관리 체계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심장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기자는 최근 잦아진 건망증으로 인해 주민센터 간호사 상담을 받았고, 1차 인지검사 결과 ‘경도인지장애 전 단계’라는 진단을 받았다. 치매안심센터의 정밀검사와 병원 연계 치료를 통해 약 한 달간의 복용 후 깜빡임 증상이 눈에 띄게 줄었고, 일상에서의 자유로움을 되찾았다. 이 경험은 치매가 조용히 다가오는 질환이며, 초기에 제도적 지원망과 연결될 때 충분히 관리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관리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도입된 ‘오늘건강’ 앱은 치매 예방과 관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약 복용 알림, 인지 퀴즈, 두뇌 훈련, 건강 데이터 기록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치매안심센터와의 데이터 연동도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앱을 통해 인지 능력 향상을 느끼고, 가족들은 부모님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안심하고 있다. 이는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기여하며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농촌 지역이나 독거노인의 경우 교육과 보급이 병행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치매는 개인의 질병을 넘어 가족이 겪는 지대한 고통이며, 사회 전체가 책임감을 가지고 해결해야 할 숙제다. 정부는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장애인을 위한 설문형 평가 도구를 도입하는 등 지원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하지만 재정 여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자체에서는 여전히 서비스 접근성과 돌봄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치매극복의 날은 치매에 대한 불편한 인식을 줄이고 국민 모두가 함께 연대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일깨우는 중요한 계기다. 치매는 더 이상 개인과 가족만의 고립된 싸움이 아니다.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책임이 결합될 때, 우리는 “치매와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갈 수 있다. 기억을 지키는 일은 곧 인간다운 삶을 지키는 일이며, 이것이 치매극복의 날이 우리에게 던지는 가장 큰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