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서민들의 생계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정책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행사에서 110여 명의 국민 패널과 함께 민생·경제 현장의 어려움을 직접 청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들이 ‘국민사서함’을 통해 접수한 민생·경제 분야 정책 제안을 구체적인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는 국민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해법을 도출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특히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경제·민생 분야가 1만 7062건으로 44%를 차지하며,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소상공인의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로 인한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의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운영자금 지원, 그리고 지역화폐 활성화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민생 과제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이라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고 강조하며,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책으로 다듬어 실질적인 삶의 변화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토크 라이브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어 국민 누구나 토론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과정들은 결국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경제적 압박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