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얼음이 귀했던 시절, 얼음 부역을 하며 여름 얼음을 보관했던 조선시대의 풍경이 오늘날 시원한 한 그릇의 빙수로 되살아나고 있다. 특히 부산의 ‘할매 빙수’는 단순한 여름 간식을 넘어, 얼음의 희소성과 사람들의 정이 담긴 옛 시절을 소환하며 시민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과거 여름은 시원함을 받아들이는 ‘납량(納涼)’의 계절이었다. 텔레비전에서는 ‘납량특집’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고, 음식 중에서는 빙수가 그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주물로 만든 수동 빙수기계로 얇게 깎은 얼음에 색소를 뿌린 10원짜리 빙수를 팔았다. 돈이 없어 침만 흘리며 구경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기계에서 쏟아지는 얼음 알갱이와 설탕 색소의 조합은 그 자체로 더위를 잊게 하는 신비로운 경험이었다. 시내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사용해 곱게 갈아낸 고급스러운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으며, 산처럼 쌓은 얼음이 무너지는 모습은 어린 시절의 아쉬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90년대에 들어서며 ‘눈꽃 빙수’가 등장하고 빙수 전문 카페와 호텔에서 고급화 경쟁이 벌어지면서 빙수는 여름 전용 메뉴를 넘어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빙수의 발전 속에서도 부산은 여전히 ‘빙수의 도시’로 불리며 특별한 위상을 지키고 있다.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 빙수 거리가 형성될 만큼 빙수 문화가 발달한 부산에는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할매 빙수’가 있다. 부산에서 ‘할매’라는 이름이 붙은 상품이 흔한 것처럼, 할매 빙수 역시 이름만 들어도 푸근함과 정겨움이 느껴진다. 부산 빙수가 특별한 이유는 그 고명에 있다. 화려한 장식보다는 팥을 푸짐하게 얹어주는 방식은, 너무 달지 않은 팥의 맛과 함께 마치 할머니의 정을 느끼게 한다. 이는 단순히 간식이나 디저트를 넘어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는 든든함을 선사한다. 심지어 일본 거주 친구는 냉면을 위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대도시로 향할 정도로 냉면 애호가지만, 한국에 올 때면 팥빙수까지 곁들여 먹으며 옛 시절을 그리워한다.
조선시대에는 여름 얼음이 궁에서만 볼 수 있는 귀한 존재였다.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을 채취해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했다가 여름에 궁으로 옮겨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용도로 사용했다. 서민들은 겨울에만 잠시 얼음을 볼 수 있었고, 여름 얼음은 상상 속의 물체나 다름없었다. 이처럼 얼음이 귀했던 옛 시절의 기억은 오늘날 부산의 소박하고 투박한 ‘할매 빙수’를 통해 생생하게 되살아나고 있다.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의 ‘할매 빙수’를 맛보는 것은, 사라져가는 옛 정취를 느끼고 귀했던 얼음의 가치를 되새기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