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의 고래 관련 문화는 단순히 과거 포경 산업의 흔적을 넘어, 시대의 변화와 함께 희로애락을 담아내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한때 울산 지역 경제를 지탱했던 고래 산업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지금, 장생포는 옛 영화를 추억하고 동시에 미래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과거의 산업적 영광이 현재의 문화적 공간으로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속에는 어떤 사회적, 문화적 함의가 담겨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본다.
장생포는 예로부터 풍부한 고래 자원으로 인해 번성했던 지역이다.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서식하기 좋은 깊은 수심과 풍부한 먹이를 갖춘 지리적 이점 덕분에 장생포 앞바다는 고래들의 안식처 역할을 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가 설립된 이후 근대 포경 산업의 중심지로 장생포를 발돋움하게 했다. 고래 기름과 단백질은 지역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고, 장생포는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닐 정도’라는 말이 나올 만큼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수출입 선박들이 빼곡히 들어서고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가 즐비했던 당시의 모습은 장생포의 과거 위상을 짐작케 한다.
하지만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때 도시의 부흥을 이끌었던 산업의 몰락은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고, 당시의 냉동 창고들은 경영난으로 문을 닫으며 폐허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과거의 아픔과 변화는 현재 장생포의 문화 콘텐츠를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시간이 흘러 2016년, 울산 남구청은 폐허가 된 냉동 창고를 매입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를 개관했다. 이곳은 단순한 박물관을 넘어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이자 시민 누구나 무료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복합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6층 건물에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은 물론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까지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체험 전시 ‘에어장생’ 프로그램과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미디어아트 전시이다. ‘에어장생’은 고래 캐릭터를 활용한 항공 체험으로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며,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 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현대적인 미디어 아트로 재해석하여 시민들에게 새로운 감성을 일깨우고 있다. 또한, 수십 년 된 냉동 창고의 문을 그대로 보존한 채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장생포문화창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다. 이곳은 울산의 근현대 산업 발전 과정을 보여주며, 특히 1980년대 온산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해 발생했던 ‘온산병’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기록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과거 산업 발전의 이면에 존재했던 어려움과 그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상기시키며,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자세를 강조한다.
한편,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 혼획된 밍크고래를 유통하며 ‘고래고기는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곳의 고래 요리는 단순한 식사를 넘어 과거 산업에 대한 애도와 향수를 담는 의례적 의미를 지닌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으며, ‘일두백미’라 불리는 소와 같이 고래 한 마리에서도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우네’나 ‘오배기’와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풍미와 식감을 극대화하여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장생포의 고래 관련 문화는 사라진 산업에 대한 애도와 향수, 과거의 어려움으로부터 배운 교훈, 그리고 미래를 향한 희망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결과물이다. 장생포의 고래는 더 이상 바다에서 볼 수 없지만, 고래고기와 고래 관련 문화 콘텐츠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영광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을 넘어,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지역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