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의 복잡한 취향 탐색과 진솔한 고민 나눔을 지원하는 특별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이라는 이름으로 열린 이 행사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고 싶은 청년들의 갈증을 해소하는 장을 마련했다. 특히 2030 세대의 취향을 적극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기획되어, 청년들의 흥미와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번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근본적인 어려움, 즉 자신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과 타인과의 의미 있는 연결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되었다. 행사의 첫 번째 공간인 ‘탐색의 방’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는 기회를 가졌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구성된 질문과 선택지는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 그리고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은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화 코드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년들은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며 바쁜 일상 속에서 잊고 있었던 자신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하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고 타인의 경험을 통해 위안과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참여자가 적은 고민이 담긴 종이를 받아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며 자신의 어려움을 되짚어보는 과정에서, 다른 누군가 또한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며 묘한 안도감을 느꼈다. 낯선 이의 진솔한 고민은 곧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와, 청년들이 혼자가 아님을 느끼게 했다.
둘째 날에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고 공유하는 ‘연결의 방’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마련하여 자신들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 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즉석에서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통해 놓치고 있는 부분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3층 ‘영감의 방’에서 진행된 다양한 강연이었다. 취향이 곧 직업이 된 현직자들과의 만남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영감과 동기 부여를 제공했다.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의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가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귀중한 경험을 선사했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개최된 만큼, 이번 행사는 청년 정책이 단순히 제도적 지원에 그치지 않고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다는 점을 몸소 경험하게 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와 같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