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14만 명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는 곧 K-문화의 강력한 확산세를 증명하는 지표이며, 한국 문화의 세계적인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도 한국어와 한글의 올바르고 쉬운 사용 문화 확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 콘텐츠의 세계적인 경쟁력 강화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K-문화의 원천으로서 한글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고, 세계인이 한국어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K-문화의 원천이자 미래를 이끌어갈 언어와 글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국어와 한글은 K-문화의 원천”이라고 강조하며, 현재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함께 한국 문화를 배우고 있음을 언급했다. 이는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문화 전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한글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산업적 활용도를 증대시킨다는 방침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을 구축하는 데에도 힘쓸 예정이다. 더 나아가, 이번 APEC을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기 위한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한글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릴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한글을 지켜낸 것처럼, 이제는 그 정신을 이어받아 한글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가속화해야 할 때이다.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서, 그 우수성과 인류애는 이미 세계 학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유네스코가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는 것 또한 이러한 한글의 위대함을 방증한다. 이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국민들의 관심이 더해진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K-팝 가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감동을 전하는 ‘소프트 파워’의 핵심 동력으로서 그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및 홍보 지원 강화는 한글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한국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