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소폭 상향 조정했다. 이는 현재 한국 경제가 당면한 성장 둔화의 어려움 속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IMF는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을 예측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담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IMF의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9%로 지난 7월의 0.8%에서 0.1%p 높아졌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이는 7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전망은 단순히 숫자의 변화를 넘어,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본연의 성장 잠재력을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 역시 상향 조정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3.2%로 0.2%p 올랐으며, 내년에는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긍정적 변화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0.1%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6%로 기존 전망과 동일하다.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이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4.2%로 0.1%p 높아졌으며, 내년 성장률은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 4.2%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어,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될 경우 경제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경고이다.
다만, IMF는 긍정적인 측면도 함께 언급했다.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한국 경제 또한 이러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구조개혁을 가속화하고 신기술 도입을 확대한다면, IMF가 전망하는 잠재 성장 궤도로 성공적으로 복귀하여 더욱 견고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