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울산 장생포는 깊은 바다와 풍부한 먹거리를 기반으로 고래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상업 포경 금지와 산업 변화로 그 명맥이 끊기게 된 안타까운 현실에 놓여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생포의 고래 요리 식당들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담아내는 장소가 되었다. 고래고기를 음미하는 행위는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의례이자, 도시의 역사를 기억하며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문화적 행위로 재해석된다.
장생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이는 깊은 바다였음을 반구대암각화의 고래잡이 그림과 각종 유물들이 증명한다. 조수차가 적고 플랑크톤이 풍부한 지리적 이점은 고래에게 이상적인 서식지가 되었으며, 특히 ‘귀신고래’라 불리던 고래들이 자주 출몰하며 장생포는 명실상부한 고래의 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천혜의 자연환경 덕분에 장생포 앞바다는 대형 선박의 접안이 용이했고, 어업은 번성하여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닐 정도’라는 말이 나올 만큼 경제적으로 부유했던 시기를 누렸다. 수출입 물품을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과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들이 즐비했던 당시의 모습은 장생포가 대한민국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1973년 남양냉동에 이어 1993년 세창냉동까지 냉동 창고업이 성행했으나, 경영난으로 문을 닫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의 매입과 주민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새롭게 태어났다. 총 6층 규모의 문화창고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 예술인들의 거점 역할을 하며,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 다채로운 문화 공간을 갖추고 있다. 특히 ‘에어장생’ 체험 프로그램은 아이들과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며,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 시대 대표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또한,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보존한 채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폐허가 된 공간을 문화 예술 작품 전시 공간으로 되살린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문화창고 2층에 상설 전시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장생포와 울산의 근현대 산업 발자취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울산석유화학단지는 정유,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중화학 공업의 집약체로서 ‘한강의 기적’을 선도했으며, 이는 당시 부모 세대에게는 잊을 수 없는 역사적인 순간으로 각인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산업 발전의 이면에는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캐한 연기로 인한 중금속 중독 질환, 이른바 ‘온산병’의 아픔도 존재했다. 1980년대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제련소와 석유화학 공장 등에서 배출된 중금속으로 인해 주민들이 카드뮴과 납에 노출되면서 발생한 질환은 산업 발전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준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의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IWC(국제포경위원회)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1986년 막을 내리게 되었다. 10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장생포를 풍요롭게 했던 고래잡이의 영광은 이제 옛이야기가 되었다. 하지만 장생포의 고래고기 식당들은 여전히 밍크고래 등 혼획된 고래를 합법적으로 유통하며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특별한 음식으로 만들며, ‘일두백미(한 마리에서 나는 열두 가지 맛)’라는 말처럼 다양한 부위와 조리법을 통해 다채로운 맛을 선사한다. 특히 ‘우네’라 불리는 턱 아래 가슴 부위와 ‘오배기’라 불리는 배 쪽 기름층과 살코기가 겹쳐진 부위는 고래고기의 진미로 꼽힌다.
장생포의 고래 요리 식당은 단순한 식사 공간을 넘어, 사라진 고래 산업과 포경선에 대한 ‘애도와 향수의 정서’가 깃든 장소이다. 고래고기 한 점에는 과거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꿈, 그리고 도시의 역사가 담겨 있다. 비록 장생포의 바다에는 더 이상 거대한 고래가 나타나지 않지만, 고래고기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기억의 조각으로서 우리의 식탁 위에 남아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라진 고래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며,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