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 산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및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에서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현장 간담회를 통해 더욱 분명해졌다. 이번 간담회는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깊이 있는 논의와 함께, 게임을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닌 국가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정책적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첫 번째 게임 관련 행사로,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브리핑에 따르면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여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 전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인조이’에 대해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 것이냐”, “이 세계에서 차 하나를 사려면 몇 시간 일해야 되느냐”와 같이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며 게임의 몰입도와 현실 경제와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게임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배경에는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의 필요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비전을 제시하며, 문화산업의 핵심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역할을 강조했다. 나아가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적 관점에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게임 산업을 단순한 여가 활동으로 치부하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중요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정책적 전환을 시사한다.
현장 간담회에서는 게임 업계가 요구하는 다양한 현안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 대통령은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개발자, 사업자의 요구와 함께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여 지혜롭게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분명히 했다. 또한, 비공개 토의 시간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 등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겼다고 밝히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이 되어야 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소규모 지원이라도 더 많은 팀에게 제공될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처럼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문화콘텐츠 수출에서의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을 꼼꼼히 짚어가며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강화와 규제 합리화가 이루어진다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게임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