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를 맺게 하며, 먹이사슬의 핵심 고리로서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도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곤충의 가치와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으며, 징그럽다는 인식으로 인해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곤충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2019년 ‘곤충의 날’이 제정되었고, 국립과천과학관은 곤충의 날을 기념하여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이 현재 지구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들도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떠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 전체의 위협으로 이어진다. 전시는 이러한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하며,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그 심각성을 자세히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의 생존율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이 줄어들면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이처럼 멸종 위기종에게는 기후변화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으며, 고유종의 멸종은 지구 전체의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 속 실천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전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곤충의 변화는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떠올리게 하며,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므로, 특히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남은 기간 동안 방문하여 지구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지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