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직후인 10일 오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단순한 시설물 피해를 넘어 국가 운영의 근간이 되는 전산 자원의 안보와 복구 과정의 효율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이 화재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복구 진행 상황 및 향후 조치 계획을 보고받기 위해 현장을 직접 찾은 것은, 이번 사태가 가진 문제의 심각성을 방증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공식적인 연차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사안의 중요성과 복구 인력에 대한 격려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을 방문했다. 대통령은 화재구역의 배터리가 모아져 있던 냉각 침수조를 둘러본 뒤, 실제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을 찾아 피해 상황을 면밀히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은 발화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과 함께, 적재 방식에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하며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려 했다.
이어진 현장 간담회에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부터 복구 진행 상황과 향후 조치 계획에 대한 보고를 받은 이 대통령은,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 계획을 논의하는 한편, 현장에서 밤낮없이 복구 작업에 매진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고충과 의견을 경청했다. 현장 근무자들은 명절 휴가까지 반납하며 복구에 힘쓰고 있지만, 기술적인 문제와 피로 누적이라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가 전산 자원의 중요성이 국방에 비견될 만큼 막중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복구와 확고한 재발 방지 대책이 중요하다”고 지시했다. 또한, 비상근무 중인 관계자들의 안전한 근무 환경 마련을 당부하며, “이제 전산 데이터는 국가 운영의 핵심이라는 걸 온 국민이 느끼게 되었다”면서 현장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은 “무엇보다 복구가 가장 중요하다”며, 예산과 인력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사용해달라”고 당부하며 이번 사태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해결을 촉구했다. 이번 화재는 국가 주요 정보 인프라의 취약성을 드러냈으며, 이를 계기로 데이터 안보 강화와 재난 발생 시 복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