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7일은 곤충의 날이다. 2019년 제정된 이 날은 곤충이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곤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 맺기를 돕는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도 크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의 삶이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곤충의 날을 기념하여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 전시를 통해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곤충은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왔으며,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곤충의 뛰어난 적응력조차 무력하게 만들고 있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이동해야 하는 곤충들이 속출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시는 이러한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향한 경고로 해석한다.
기후변화의 생물지표종으로 선정된 8종의 곤충 변화를 통해 이러한 현실을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경우도 있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의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멸종위기종에게 기후변화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붉은점모시나비는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정도로 흔했으나, 먹이 식물이 줄어들면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인해 유충의 생존율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이는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적으로도 멸종됨을 의미하기에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인류의 노력, 즉 탄소중립 실천이 절실하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시는 관람객들이 곤충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우리 주변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은 곤충과 지구의 미래를 지키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계속되며, 특히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정이 지구의 미래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