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내수 시장은 좀처럼 활력을 되찾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감소가 이어지면서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개최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잠시나마 훈풍을 불어넣었다. 이 행사는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로, 온·오프라인을 망라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데 집중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이번 축제의 대표적인 온라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상승한 매출을 기록했으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또한 13배(6200만 원) 이상의 매출 증가를 보이며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이는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주목받았다.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은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은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동행축제의 주요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번 축제는 특히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의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았기에,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데 비중을 두었다. 전체 144곳의 오프라인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110곳), 인구 감소 지역이 24%(34곳)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 판매전 또한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APEC중소기업장관회의와 연계해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개막식(8월 30일~9월 5일)에는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이틀간 열린 판매전에서는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 판매전은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한 이 행사에서는 제품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며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어졌다. 상생소비복권은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로,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되어 1000만 명이 응모했다. 7개 TV홈쇼핑사는 상생기획전 및 경품 이벤트를 통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지원했으며, 7개 카드사는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용 고객에게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여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에 포장 주문 5000원 할인쿠폰을 발급했으며, 집중호우 피해 지역의 가게를 위한 추가 할인쿠폰도 제공하며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10월 말 예정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양한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침체된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소상공인들에게 지속적인 희망을 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