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가 9월 9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열렸지만, 그 이면에는 여전히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안정적인 판로 확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놓여 있었다. 그간 보호나 시혜의 대상으로만 여겨졌던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일상에서 당연하게 소비되는 제품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낯섦’이라는 장벽을 넘어서야 했다. 또한, 생산자들의 자립과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이번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선 복합적인 현장으로 운영되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체험 등을 통해 관람객들이 생산 현장의 노동 강도와 섬세함을 직접 느끼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실제 체험에 참여한 금천구 박O광 씨(32)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의 어려움을 언급하며, 옆에서 도움을 준 선생님과의 협력을 통해 최종 완성했을 때 큰 성취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이는 가르침을 넘어선 동료애의 발현이었으며, 모두에게 뿌듯함을 선사했다. 완성된 쇼핑백 위에 선명하게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했다. 또한,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등의 부스에서는 ‘맛·품질·가격’을 기준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증명하며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고정관념을 탈피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는 제설제와 세정제를 선보이며 산업 현장에서도 쓰이는 제품임을 각인시켰다.
더 나아가, 박람회장 한편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등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는 서명이 이어졌다. 이는 어제의 성과를 기리는 포상과 미래의 공급망을 열어가는 다짐의 자리였다.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은 부스 한가운데서 납품 조건, 단가, 납기, A/S 등 현장의 언어로 논의하며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공공기관이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여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실질적인 기반이 조성된다. 이번 박람회에서 만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에서의 약속, 통로에서의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진실은, 이러한 문제 해결 노력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사회 곳곳에 스며들어 그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