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마다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오랜 기간 해결되지 않는 사회적 난제 중 하나다. 특히 추석 명절 후 냉장고에 남는 갈비찜, 잡채, 전 등의 처리 방안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박찬일 셰프는 명절 음식의 남김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요리를 창출할 수 있는 두 가지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명절 후유증을 겪는 이들에게 희망을 전한다.
박찬일 셰프는 추석의 의미를 되새기며, 풍성했던 명절 음식이 남는 현상을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과거 명절에도 갈비는 매우 귀한 음식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 와서는 명절 음식 준비 후 남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 증가와 더불어 명절의 풍요로움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박 셰프는 이러한 ‘음식물 남김’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은 명절 음식을 활용한 특별한 레시피를 제안한다.
박 셰프가 제안하는 첫 번째 솔루션은 ‘갈비찜 잡채볶음밥’이다. 명절 후 남은 갈비찜은 뼈를 발라내고 양념과 함께 국자로 한 국자 정도를 덜어낸다. 여기에 밥 한 공기, 고추장 반 큰술, 잡채, 김가루를 더해 볶으면 근사한 볶음밥이 완성된다. 특히 이 볶음밥은 식용유 없이 갈비 소스와 잡채의 기름기만으로 조리되어 더욱 건강하고 풍미 깊은 맛을 자랑한다. 고추장 대신 신김치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며, 박 셰프는 이 볶음밥의 맛을 자신하며 ‘환불’까지 걸 만큼 확실한 만족감을 보장한다.
두 번째 솔루션은 ‘전 두루치기’다. 명절에 빠지지 않는 전 역시 남을 경우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박 셰프는 남은 전을 활용한 두루치기 레시피를 소개한다.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을 기본 재료로 사용한다.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마늘과 파를 볶은 후, 캔 참치와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적당한 크기로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더해 바글바글 끓여내면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을 경우 더욱 맛있는 두루치기를 즐길 수 있으며,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기가 국물에 깊은 풍미를 더해준다.
박찬일 셰프의 이번 제안은 단순한 요리법 소개를 넘어, 명절 음식물 남김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는 남은 명절 음식을 재탄생시켜 새로운 미식 경험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감소라는 환경적 가치까지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박 셰프의 창의적인 레시피는 명절 후유증을 긍정적인 요리 경험으로 전환시키며, 풍요로운 명절의 의미를 더욱 깊게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