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도시 정체성을 강화하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단순히 문화 행사를 다수 개최하는 것을 넘어,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상품 개발이나 유휴 공간을 예술 창작 공간으로 전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문화도시의 핵심 역할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민들에게조차 문화적 매력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동성로, 수성못, 양떼목장 등 제한적인 이미지만이 각인된 채, 특별한 정체성이 부재하다는 인식은 가까운 부산이나 서울, 혹은 바다가 있는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선정된 지 2년가량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문화도시 사업에 대한 인지도나 체감도가 현저히 낮다는 점은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의 지난 발자취를 되짚어보고, 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박람회에 참여한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문화달성미래포럼,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하고 시민 주도의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들락날락 매거진’과 같은 홍보 자료는 대구가 타 지역보다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방문객을 위한 포춘쿠키 이벤트와 같은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방식은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실질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한편,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춰 칠곡로컬팜투어, 우리 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특히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 예정인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지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준다. 또한,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타 지역의 문화도시 사례 발표를 통해 인구 유출 및 감소, 지역 소멸이라는 공통된 고민을 공유하고,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모색하는 지혜를 나누었다. 이는 대구 역시 청년 유출 문제에 직면해 있는 만큼,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칠곡 문화도시 SNS 팔로우 이벤트와 같은 소통 채널 강화는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문화도시의 밝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문화도시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지역 고유의 문화적 특색이 강화되어 도시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고, 이는 곧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민들은 문화 활동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이루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제4차 문화도시인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 그리고 전국 37개 문화도시의 향후 행보는 지역 주민들의 작은 관심과 참여가 문화의 꽃을 피우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임을 잊지 않고 꾸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26년 문화도시 박람회에서는 더욱 성숙하고 발전된 이들 지역의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희망적인 메시지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