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시장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경영난 심화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한국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전국 단위 소비 촉진 행사인 ‘동행축제’를 통해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고자 노력해왔다. 그 결과,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동행축제를 통해 총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규모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활력을 불어넣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동행축제 기간 동안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다. 이는 단순히 행사 자체의 판매 실적을 넘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과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로 이어지며 내수 시장 전반에 걸쳐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동행축제는 본래 내수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의 매출을 직접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전국적인 행사다.
이번 9월 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양한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이라는 높은 매출 성과를 기록했다.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동행축제의 대표적인 온라인 판매 채널로 자리매김하며 주목받았다. 실제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오프라인 판매전 또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국적인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특히 이번 축제는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과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데 중점을 두어,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 지역에서 110곳(76%), 인구감소지역에서 34곳(24%)의 행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으며,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는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눈길을 끌었다. 상생소비복권은 1000만 명이 응모하며 큰 관심을 보였고,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특별 혜택을 제공하고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용 소비자들에게 캐시백과 할인 혜택을 강화하는 등 골목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포장 주문 할인 쿠폰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지역 경제 회복에 힘을 보탰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번 9월 동행축제에 참여한 국민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나아가 정부는 이달 말, 기존의 할인 축제들을 통합하여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10월 29일~11월 9일)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 축제는 쇼핑, 여행, 문화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하게 준비될 것이며, 이는 동행축제를 통해 조성된 소비 활력의 흐름을 이어가 내수 시장의 지속적인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