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고도 성장의 이면에 존재했던 산업 쓰레기와 그로 인한 환경 문제,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도시의 낡은 공간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문제’를 야기했다. 이러한 도시의 발자취는 종종 잊히거나 방치되기도 하지만, 끈질긴 사회적 노력과 창의적인 재해석을 통해 과거의 오점을 딛고 미래를 위한 희망의 장소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위치한 부천아트벙커B39는 바로 이러한 도시재생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발표는 부천시 삼정동에 33년 전 설치된 쓰레기 소각장이 겪었던 문제점과 그 해결 과정을 조명한다. 1992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환경부 지침에 따라 삼정동에 쓰레기 소각장이 건설되기 시작했고, 1995년 5월부터 본격 가동되어 서울과 수도권의 쓰레기를 하루 200톤씩 처리했다. 하지만 1997년, 환경부의 조사 결과 이곳 소각장에서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의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었다. 마을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지역 주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엄격한 관리 기준 마련과 소각장 폐쇄 운동을 벌였으나, 한 번 잃은 신뢰는 회복하기 어려웠다. 결국 2010년, 폐기물 소각 기능이 대장동 소각장으로 이전 및 통합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가동을 중단하고 쓸쓸한 폐건물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이곳 폐소각장은 도시와 건물에 깃든 운명처럼,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극적인 반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2018년, 이곳은 약 33년 전 쓰레기를 태우던 공간에서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태어났다. 약 33년 전, 이곳은 서울과 수도권의 쓰레기를 처리하며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었지만, 이제는 과거의 오점을 딛고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과거 쓰레기 소각로의 거대한 굴뚝과 쓰레기 처리 시설이었던 공간들은 하늘과 채광을 끌어들이는 ‘에어갤러리’와 같은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쓰레기 저장조였던 지하 벙커는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된 핵심 공간으로, 쓰레기 반입실은 멀티미디어홀(MMH)로 바뀌었다. 또한, 소각동의 기존 설비 공간들은 아카이빙실 등으로 리모델링되어,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 그리고 소각장이 문화예술공간으로 변모하는 생생한 역사를 보여주는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이 상설 전시 중이다.
부천아트벙커B39의 성공적인 재탄생은 단순히 낡은 건물을 허물고 새로 짓는 것을 넘어, 과거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긍정적인 문화적 자산으로 전환시킨 도시재생의 중요한 의미를 보여준다. 쓰레기 소각장이라는 혐오 시설이 시민들이 즐기는 문화예술 공간으로 거듭나면서, 이는 오래된 것을 버리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오래 견디고 볼 일’이라는 격언을 실천적으로 증명한다. 이러한 사례는 앞으로도 도시 곳곳에 남아있는 폐산업시설들이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창의적인 재생을 통해 지역 사회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