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시원함을 선사하는 대표적인 디저트인 빙수. 하지만 단순한 여름 간식을 넘어, 우리 민족의 역사와 추억이 담긴 특별한 존재이기도 하다. 특히 부산에서 ‘할매’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온 옛날 빙수는, 단순히 얼음을 갈아 만든 차가운 음식을 넘어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는 푸짐함과 정겨움을 선사한다. 이러한 부산식 빙수의 매력과 그 속에 담긴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잊혀 가는 여름날의 추억을 되새기고 사라져 가는 전통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과거 여름은 지금처럼 시원한 에어컨과 다양한 냉방기구 없이,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며 더위를 견뎌내야 했던 계절이었다. 당시 여름철 더위를 쫓는 가장 대표적인 문화 현상 중 하나가 바로 방송사들의 ‘납량특집’ 프로그램이었다. 귀신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던 <전설의 고향>과 같은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에게 오싹함을 선사하며 더위를 잊게 하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납량(納凉)’이라는 단어 자체가 시원함을 받아들인다는 뜻처럼, 방송은 귀신 이야기로, 음식은 빙수로 여름철의 시원함을 책임졌던 것이다.
오늘날의 빙수는 매우 다양하고 고급화되었지만, 1970년대만 해도 여름철 서민들의 대표적인 간식거리였다.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판매하던 십 원짜리 빙수는 에펠탑처럼 생긴 수동 빙수기계로 만들어졌다. 얼음을 틀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사각사각 갈린 얼음 알갱이가 그릇에 수북이 쌓였고, 여기에 색소를 뿌려 내주면 그걸로 더위를 식혔다. 비록 돈이 없어 침만 삼키며 지켜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빙수가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만으로도 신비롭고 즐거운 경험이었다. 시내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넣어 곱게 간 얼음에 과일 통조림을 곁들인 고급스러운 팥빙수와 ‘후루츠칵테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산처럼 쌓인 빙수가 금세 무너지는 모습은 어린 마음에 아쉬움을 안기기도 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눈꽃 빙수가 등장하고 빙수 전문 카페가 생겨나면서 빙수는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으며, 호텔에서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최고급 빙수까지 경쟁적으로 출시하며 ‘빙수 왕국’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진정한 빙수의 왕국은 단연 부산이라고 할 수 있다. 광복동, 용호동 등 부산 곳곳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국제시장 안의 빙수 가게 앞에서는 맛있는 빙수를 맛보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하는 풍경이 흔하다. 왜 부산이 빙수의 도시가 되었을까. 한 상인은 생선을 얼려 보관할 때 필요한 얼음이 빙수 재료로 활용되기도 하고, 더운 날씨에 빙수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럽게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부산의 빙수들은 화려한 고명보다는 팥을 푸짐하게 얹는 것이 특징이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은 마치 할머니의 정을 담은 듯 얼음 위를 덮고,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간식이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기분이 든다. 전국적으로 인기를 끈 ‘눈꽃 빙수’의 오리지널이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곳 시민들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은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다.
멀리 미국에 사는 한 지인은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냉면을 먹으러 갈 정도로 냉면 광이지만, 부산식 팥빙수 또한 잊지 않고 챙겨 먹는다. 그는 팥빙수 그릇 앞에 앉아 있으면 겨울이면 한강에 나가 얼음을 부역하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대를 떠올리며 자신이 늙어감을 느낀다고 했다. 이는 빙수 한 그릇에 담긴 시간의 깊이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조선시대에는 겨울철에 얼음을 캐서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철에 궁으로 옮겨 사용했다. 당시 얼음은 왕이 먹는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역할을 했으며, 일반 서민들이 얼음을 접하는 것은 겨울에 한정되었다. 여름철 얼음은 궁에서나 누릴 수 있는 호사였으며, 상상 속의 존재와도 같았다. 이처럼 옛이야기를 통해 얼음이 얼마나 귀한 것이었는지 실감할 수 있다. 이제는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인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향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