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더 많은 외래어와 줄임말이 일상 속에서 사용되면서 우리말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우리말의 정확한 의미와 가치를 간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언어의 풍요로움과 문화적 정체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25년 10월 9일,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한글날을 기념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담긴 자리였다.
이번 한글날 기념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펼쳐졌으며, 잔디밭 위에 설치된 다양한 부스를 통해 참가자들이 우리말을 배우고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마련되었는데, 이는 참가자들이 우리말과 더욱 친숙해지고 그 소중함을 알아갈 기회를 제공했다. 행사에 참여한 이들은 운영 부스에서 카탈로그를 받아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날 행사에서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였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지도 위에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직접 적어보는 활동을 통해 지역별 사투리의 다채로움을 실감할 수 있었다.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익숙한 단어부터 대전에도 사투리가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된 참가자들까지, 다양한 사투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기는 기회를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진행하며, 참가자들이 몇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정답을 맞힐 때까지 기회를 제공하여 아이들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정답을 맞힌 참가자에게는 우리말 가꿈이 전용 물티슈를 증정하며 성취감을 더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한글 자체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정답을 맞히며, 어릴 때부터 사용해왔던 한글의 깊은 뜻을 뒤늦게나마 깨닫고 반성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등의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퀴즈를 풀며, 우리가 얼마나 무심코 외래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인지하게 되었다. 참가자들은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우리말 표현을 익히며 일상에서 외래어 사용을 줄이기로 약속하는 등 공공언어 개선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모든 부스를 완료한 참가자들은 도장 5개를 모아 파우치를 선물로 받으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젊은 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며 우리말의 소중함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였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 좋은 장소에 마련된 행사는 참가자들이 행사를 마친 후 가볍게 공원을 둘러보기에도 좋았다. <우리말 가꿈이>의 노력 덕분에 20대 젊은이들 사이에서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며, 다양한 체험과 홍보 부스가 운영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국적인 행사를 통해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하며, 내년에 다시 돌아올 한글날을 기다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