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을 맞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을 위한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 역시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되며, 각 지역에서는 개성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행사들이 과연 청년들이 겪는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기존의 ‘청년의 날’ 관련 행사들은 종종 형식적이거나 특정 계층만을 위한 프로그램에 그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올해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 참여한 김태호 PD의 강연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사하는 동시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김태호 PD는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 기획 및 전달 방식을 논하며, 강연 중간에 수어 통역을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에 대한 평등성을 높였다. 이는 단순한 기념 행사를 넘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청년들이 공감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준다.
실제로 각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청년들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서울 은평구의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서는 유명 PD인 김태호 PD의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미디어 분야를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또한, 순천에서는 로이킴 공연을 포함한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가, 안성시에서는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함께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가 열리는 등 지역별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행사들은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들이 현실적으로 고민하고 공감할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행사들에 참여하는 것은 청년들에게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김태호 PD의 강연은 불안한 진로 앞에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년 ‘위라클’ 채널의 박위 강연 역시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영감을 주었다. 이는 ‘청년의 날’이 단순히 하루를 기념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잠시 멈춰 자신을 성찰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 각 지역에서 열리는 양질의 강연과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청년들은 진로에 대한 막막함을 해소하고 새로운 동기 부여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