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청년들이 겪는 문화 향유의 어려움이 부각되고 있다. 자신의 진정한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공유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지원과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이라는 특별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청년들이 자신만의 문화적 취향을 탐색하고, 나아가 동년배들과 소통하며 어려움을 나누는 장을 마련했다.
본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며, 참여자들이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도록 유도했다. 1층 ‘탐색의 방’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 질문의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선택지로 구성되어,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참여자가 작성한 답변을 받아봄으로써 혼자만이 어려움을 겪는 것이 아니라는 위안과 함께 타인의 진심 어린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적인 활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즉석에서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청년 정책에 대한 참여를 독려했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는데,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출판계 현직자들이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영감을 제공했다.
이처럼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문화 향유의 어려움을 다각도로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자신의 취향을 탐색하고, 타인과 고민을 나누며, 나아가 문화적 관심사를 실제 활동과 정책 제안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청년들은 자신감을 얻고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이러한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된다면, 청년들은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를 더욱 활발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건강한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