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서, 정부가 국민 보호를 위한 강력한 조치에 나섰다. 특히 범죄 단지 의혹이 제기되는 건물 인근에 3m가 넘는 담벼락이 서 있는 시하누크빌 등 일부 지역의 치안 불안이 가중되고 있어, 외교부는 해당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를 최고 단계로 격상하고 관련 대응 TF를 공식 출범시켰다.
외교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캄보디아에서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오는 16일 00시를 기해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4단계인 ‘여행금지’를 발령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캄보디아 내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안전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현재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캄보디아의 캄폿주 보코산 지역, 바벳시, 포이펫시는 이번 조치로 인해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된다. 또한, 치안 상황이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시하누크빌주는 기존의 특별여행주의보에서 한 단계 상향된 3단계인 ‘출국권고’가 발령된다. 이 외에도 기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지역은 현 효력이 유지되며, 1단계 ‘여행유의’ 발령 지역은 2단계 ‘여행자제’로 경보 수준이 조정될 예정이다. 이는 캄보디아 전반에 걸쳐 여행객들의 주의를 요하는 지역이 확대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엄중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외교부는 신속하게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대응 TF’를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지난 14일 꾸려진 이 TF는 박일 전 주레바논대사를 팀장으로 하며, 외교부 영사안전국, 아세안국, 개발협력국 등 내 관련 실·국 인력이 총동원되어 캄보디아 현지에서의 심각한 문제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다. 박일 팀장은 캄보디아에 체류하며 주캄보디아대사관 신임대사 부임 전까지 취업사기·감금 피해 대응 업무 전반을 총괄하고, 캄보디아 당국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팀장은 과거 중동 정세 악화 상황에서 레바논에 체류하던 우리 국민 97명의 안전한 귀국을 성공적으로 지원한 경험이 있어, 이번 TF에서도 그의 역량이 크게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캄보디아 내에서 발생하는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가용한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조치들이 캄보디아 현지에서 발생하는 우리 국민의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잠재적 피해자들에게는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