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면 코끝을 스치는 달콤함과 시원함으로 더위를 잊게 하던 빙수가 이제는 단순히 계절 메뉴를 넘어 과거의 추억과 현대의 감성이 교차하는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다. 과거 텔레비전 방송의 ‘납량특집’이 여름밤의 오싹함을 선사했다면, 얼음 알갱이가 주는 시원함은 음식으로서 여름의 더위를 쫓는 강력한 힘을 지녔다. 십 원짜리 추억의 빙수부터 고급 호텔의 특별한 메뉴에 이르기까지, 빙수는 시대를 거듭하며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곁을 채워왔다.
이러한 빙수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는 특히 부산에서 더욱 짙게 나타난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주물 빙수기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는 어린 시절의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에펠탑처럼 생긴 수동 빙수기에 얼음을 넣고 손잡이를 돌려 깎인 얼음이 그릇에 수북이 쌓이는 장면, 색소가 든 병을 뿌리고 숟가락으로 받아 먹던 풍경은 여전히 생생하다. 시내의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넣어 곱게 간 얼음에 후루츠칵테일을 곁들인 고급 빙수를 맛볼 수 있었고, 이는 동네 빙수와는 차원이 다른 맛으로 즐거움을 선사했다. 산처럼 쌓인 얼음이 무너지듯 사라지는 모습은 마치 흘러가는 시간을 아쉬워하는 듯한 감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90년대에 들어서며 ‘눈꽃 빙수’의 등장으로 빙수는 단순한 여름 음식을 넘어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빙수 전문 카페의 등장과 호텔들의 경쟁적인 고급 빙수 출시로, 우리는 그야말로 ‘빙수 왕국’이라 할 만한 시대를 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란함 속에서도, 변함없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이 있으니 바로 부산이다. 부산은 광복동, 용호동에 빙수 거리가 있을 만큼 빙수의 도시로 불린다. 특히 국제시장에서는 유명한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길게 줄을 서는 풍경이 펼쳐진다.
부산이 빙수의 도시가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생선 얼리는 데 필요한 얼음이 자연스레 빙수 재료로 활용될 수 있었고, 더운 날씨에 대한 갈증 해소에 빙수가 더욱 절실했기 때문이다. 부산에는 비싸고 화려한 빙수도 있지만, 시민들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은 소박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다. 이는 국밥집에 ‘할매’라는 상호가 붙듯, 빙수에도 ‘할매 빙수’라는 이름으로 대변된다. 그저 이름만 들어도 구미가 당기고 푸근한 느낌을 주는 이 할매 빙수는 요란한 고명 대신 푸짐하게 얹은 팥이 특징이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은 마치 할머니의 정처럼 느껴지며,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간식이나 디저트가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듯한 만족감을 선사한다. 전국적으로 유행한 ‘눈꽃 빙수’의 오리지널이 부산에 있다는 설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의 매력에 빠져 있다.
이러한 빙수에 대한 그리움은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에게도 이어진다. 미국의 한 친구는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냉면을 먹으러 갈 뿐만 아니라, 팥빙수도 꼭 한 그릇 사 먹는다고 한다. 그는 조선시대 얼음 창고가 있던 동네에 살았던 경험과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 부역을 했던 조상들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팥빙수 그릇 앞에서 늙어감을 느낀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역사와 추억을 되새기게 하는 빙수의 힘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겨울이면 한강에서 캐낸 얼음을 서빙고와 동빙고에 저장해 여름 동안 궁에서 사용했다. 당시 얼음은 왕이 먹는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역할을 했으며, 서민들에게 여름 얼음은 꿈도 꾸기 힘든 귀한 것이었다. 이러한 옛날 이야기를 통해 얼음이 얼마나 귀했는지 실감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으로 여겨지는 팥빙수를 먹기 위해,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더욱 바빠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