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갑작스러운 폭우는 많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지치게 했다. 이러한 이상기후 속에서 잠시나마 일상에서 벗어나 분위기를 전환하고 싶은 갈증을 느끼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즉각적인 여행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 참여하며 색다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지향하며, SNS를 통해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했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참여자들에게 양질의 인문학 콘텐츠를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매주 정해진 시간에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것이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길 위의 인문학’이라는 이름이 주는 기대감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의 밭과 마음의 밭을 넓히는 인문학의 본질적인 목적과 맞닿아 있다.
이상명 ‘가가77페이지’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를 바탕으로 연 뒤,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가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접근은 인문학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의미와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선정된 다양한 주제의 영화를 통해 폭넓은 참여를 유도한다.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1회차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관람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을 주제로 깊이 있는 사유를 나누는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각자의 삶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되묻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여자들은 활동지에 자신만의 생각을 기록하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며, 일상적인 반복에서 벗어나 새로운 리듬감을 느끼는 소중한 경험을 얻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며, “프로그램 참여자들과 만나 소통하며 인문학을 통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받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활용될 여지가 많다고 강조하며, ‘가가77페이지’가 문화의 많은 것들을 담고 즐기고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를 내걸고,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독립 서점들은 활성화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으며, 참여자들은 책을 읽거나 구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책방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최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문학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이상명 대표는 오히려 AI 시대에 인문학의 활용 영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인문학은 AI를 구조화하고 윤리적인 사고를 더하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단순한 강연을 넘어,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인문학적 통찰력을 통해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전국 곳곳에서 이어지는 ‘길 위의 인문학’ 열기는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삶과 공동체를 위한 지혜와 통찰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