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선사 시대의 놀라운 유산인 반구천 암각화가 오랜 숙원 끝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6000년에 걸친 인류의 상상력과 예술성이 마침내 세계 무대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 등재가 단순한 영광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동안 반구천 암각화가 겪어온 수몰 위협과 보존의 어려움을 되돌아볼 때, ‘기적의 현장’이 ‘수몰의 현장’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결코 용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반구천 암각화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현재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소통해야 하는 ‘시간의 언어’라는 점이다. 1970년 12월 24일, 문명대 교수가 울산 언양에서 우연히 발견한 천전리 암각화는 우리나라 암각화 연구의 시작을 알렸다. 그로부터 1년 뒤인 1971년 12월 25일, 인근 대곡리에서는 고래, 사슴, 호랑이 등 생생한 그림이 담긴 또 다른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이 두 암각화를 묶어 ‘반구대 암각화’로 불리다가, 현재는 ‘반구천 암각화’로 통칭하며 이번에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천전리 암각화가 청동기 시대, 대곡리 암각화가 신석기 시대 유적인 점을 감안하면, 발견 순서와 시대적 순서가 뒤바뀐 채 나란히 세계유산이 된 점은 흥미롭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선사 시대부터 6000여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라고 평가하며,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고 극찬했다. 또한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는 평가 역시, 암각화에 담긴 사실성, 예술성, 창의성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정확히 짚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2010년 잠정목록 등재 이후 15년 만에 세계유산으로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천전리 유적에는 높이 약 2.7m, 너비 10m의 바위 면에 마름모, 원형 등 추상적인 청동기 시대 문양과 신라 시대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반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새끼 고래를 이끄는 무리, 작살에 맞아 배로 끌려가는 고래의 모습, 그리고 호랑이와 사슴 같은 육지동물, 풍요를 기원했던 제의의 흔적까지 생생하게 담고 있다. 이러한 발견은 고미술학계에서 ‘크리스마스의 기적’ 혹은 ‘크리스마스의 선물’이라 불릴 만큼 감격적인 사건이었다. 필자 역시 1987년 MBC 다큐멘터리 제작 당시, 문명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현장을 찾아 해 질 녘 햇살에 비치는 50여 마리의 고래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모습을 잊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동물의 묘사를 넘어, 집단의례의 도상이며 인류 예술의 기원, 나아가 오늘날 다큐멘터리의 스토리보드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6000여 년 전 동해 연안 거주민들이 집단으로 고래를 잡고, 그 기록을 바위에 새긴 것은 하늘로 띄운 기도이자 공동체의 삶을 기록한 생활 연대기였다. 이는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벽화,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인류 선사 미술의 최고 걸작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반구천 암각화는 지난 반세기 동안 수몰 위협과 싸워왔다. 댐 건설로 인한 수위 상승으로 암각화가 물에 잠기고 박락이 떨어져 나가거나, 어설픈 탁본으로 원본이 훼손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최근 몇 년간 잦은 가뭄으로 암각화가 비교적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기후 변화와 댐 운영이라는 변수 앞에서 ‘반구천’은 언제든 ‘반수천(半水川)’이 될 수 있으며, 물속에 잠긴 유산은 세계유산의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등재 이후의 보호·관리 계획이 부실하다면 유네스코는 등재를 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정한 과제는 지금부터다. 울산시는 ‘고래의 도시’로서 고래 축제 개최 등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암각화를 단순 보존하는 것을 넘어 체험형 테마공원, 탐방로, 교육 프로그램, 워케이션 공간까지 아우르는 생동하는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또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지정을 계기로 AI 기반 스마트 유산관리 시스템, 암각화 세계센터 건립 등 미래형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 인프라라는 명분 아래 생태 환경이 훼손되거나 과잉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유산의 본질을 배반하는 행위가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벽화와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의 보존 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선사 시대의 시스티나 성당’이라 불리는 라스코 동굴은 1963년 일반 공개 이후 발생한 이산화탄소, 습도, 곰팡이 문제로 인해 진본 동굴을 폐쇄하고 인근에 재현 동굴을 설치했다. 알타미라 동굴 역시 20세기 중반 이후 관광객 급증으로 인한 훼손 발생으로 2002년 전면 폐쇄 후 정밀 복제 동굴인 ‘새 동굴’을 설치해 교육 및 관광에 활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는 문화유산의 공개와 보존 사이의 긴장 관계를 보여주며, 결국 복제품을 통한 ‘간접 관람’ 방식으로 전환해야 했음을 시사한다.
물론 문화유산은 원본이 주는 ‘아우라’가 최상이다. 하지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후대에 잘 물려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다행히 현대 기술은 3D 스캔, 디지털 프린트, AI 제어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반구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꿈이 유네스코의 이름으로 되살아난 지금, 이 거대한 바위의 장엄한 서사를 인류와 함께 나누는 이야기로 승화시키기 위한 지혜로운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