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포 고래고기 식당을 단순한 식사 장소로 치부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이곳에는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애도와 향수의 정서가 깃들어 있다. 고기 한 점을 음미하는 행위는 단순히 맛을 즐기는 것을 넘어, 과거를 기리고 회상하는 의례로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공동체의 내일을 연결하는 의미를 지닌다.
장생포는 예로부터 고래의 보고였다.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이는 깊은 바다였으며, 반구대암각화의 고래잡이 그림은 이를 증명한다. 지리적으로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태화강, 삼호강, 회야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과 플랑크톤은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을 모이게 했고, 이는 고래의 서식지로 최적의 조건을 제공했다. 특히 귀신고래가 자주 출몰하며 장생포는 중요한 보금자리 역할을 했다. 또한, 수심이 깊어 대형 선박 접안이 용이했으며, 이러한 자연적 이점은 장생포를 번성하는 항구 도시로 만들었다.
과거 장생포는 여수 못지않은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수출입 대형 선박이 빼곡했으며,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가 즐비했다. 1973년 남양냉동이 설립된 이후 1993년에는 세창냉동으로 바뀌었으나, 경영난으로 문을 닫으며 냉동 창고는 주인을 잃었다. 하지만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끝에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재탄생했다.
새롭게 개관한 장생포문화창고는 총 6층 규모에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특별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 다채로운 문화 예술 공간을 갖추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에어장생’ 항공 체험, 종이 고래 접기 등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과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 대표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살린 갤러리에서는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며 업사이클링의 모범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2층의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울산 석유화학단지는 대한민국 중화학공업의 심장부로서 한강의 기적을 이끌었지만, 이면에는 굴뚝의 매캐한 연기와 함께 일본의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극심한 중금속 중독 질환, 즉 ‘온산병’이라는 아픈 역사도 존재했다. 1980년대 조성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제련소와 석유화학공장은 중금속 배출로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다. 이러한 근현대사의 궤적을 보여주는 전시는 울산의 발전 과정과 그 이면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막을 내렸다. 그러나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대부분 밍크고래 등 혼획된 고래만을 합법적으로 유통하지만, 고기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특별한 음식으로 만들고 있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육고기와 흡사한 외관으로, 삶은 수육과 생회가 어우러진 모습은 다채롭다.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부위별로 맛과 식감이 다르며, 특히 ‘우네’와 ‘오배기’ 같은 고급 부위는 풍부한 맛과 식감을 자랑한다.
장생포 고래고기 식당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다.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애도와 향수를 담고 있으며, 고래로 꿈꿨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을 담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여전히 존재하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우리는 고래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