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식중독 사고 예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서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은 언제나 높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오는 11월 1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긴급 조치를 시행한다고 11월 10일 밝혔다. 이는 급식 시설의 위생 불량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발표다.
이번 집중 점검은 올해 상반기에 진행된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6536곳에 대한 점검에 이은 후속 조치다. 식약처는 이번 추가 점검을 통해 총 1만 300여 곳의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는 그동안 파악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실시된 점검에서도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11개 업체를 적발하여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하는 등,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이미 상당수 발견한 바 있다.
식약처가 이번 점검에서 중점적으로 살피는 내용은 소비기한이 경과한 제품의 사용 및 보관 여부, 보존식의 올바른 보관 상태, 그리고 식품 및 조리실 등 급식 시설 전반의 위생 관리 상태다. 단순 점검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수거한 조리식품과 급식 조리도구 등에 대해서는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정밀 검사하여 실질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더불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손 씻기 방법 및 환자의 구토물 소독·처리 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 활동도 병행한다. 이는 위생 관리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식약처는 이러한 집중 점검과 교육·홍보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으로도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위생 점검과 식중독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아이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급식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점검을 통해 식중독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급식 문화가 정착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