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앞두고 은행 창구에서 목돈 이체 업무를 처리하던 중,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의 심각성과 이로 인한 은행의 강화된 문진 제도가 새롭게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주 은행을 방문하지 않는 어머니가 이체 경험 부족으로 불안감을 느끼며 동행을 부탁하면서, 최근 은행 업무 절차가 이전과 달리 무척 까다로워졌음을 직접 체감하게 되었다. 이는 최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전 은행권이 공동으로 시행하고 있는 금융사기 피해 예방 조치의 일환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은행들은 창구를 이용하는 고액 인출 및 이체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 시청을 의무화하고, 실제 발생한 보이스피싱 최신 사례를 안내하는 등 강화된 문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은행 직원은 “점점 더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도 커지고 있는 보이스피싱으로부터 고객님의 소중한 자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다소 불편함이 따르더라도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임을 거듭 설명했다. 실제로 ‘영화 같은 작전, 그 주인공은 당신일 수도!’라는 제목의 영상은 정부 기관 사칭 등 보이스피싱 수법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실제 자금 이체 상황이 영상과 유사할 경우 이체를 멈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금융권의 노력은 단순한 절차 강화에 그치지 않는다. 한 은행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창구를 설치했다는 사실은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kfb.or.kr)에서는 보이스피싱 관련 동영상 외에도 신종 금융사기 유형 안내, 사기 유형별 예방 방법, 피해 구제 절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예방이 최선의 방법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추석 이후 명절 관련 정보(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대출, 택배 등)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할 것이라는 은행 직원의 언급은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출처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 클릭을 즉각 삭제하는 습관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금융감독원과 범금융권이 제작한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에 확인하Go’ 캠페인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금전을 선입금으로 요구하는 경우 무조건 의심하고, 자녀 등에게 전화하여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1~7월) 보이스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 역대 최대인 1,345억 원을 기록하며 피해 규모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고, 발신 번호는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112에 신고하면 즉시 연결된다. 악성 앱 설치 시 경찰서 방문을 통해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는 등 다층적인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융감독원은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며, 총상금 1천 600만 원을 걸고 신규 제도 제안, 현행 제도 개선, 탐지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국민적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제는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 주저 없이 전화를 끊으며, 반드시 해당 기관이나 가족에게 확인하는 습관을 통해 소중한 자산을 지켜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