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고조된 한국 문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바탕으로,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하려는 시도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막을 올렸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더 나아가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개최되며 문학을 생활 속으로 더욱 깊숙이 가져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에서는 ‘도움―닿기’라는 주제 아래, 문학이 우리 삶의 예상치 못한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댈 수 있는 연대의 장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이라는 주제 스테이지에서는 작가들의 솔직한 경험담이 공유되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들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작용했다. 이러한 조언들은 글을 쓰는 일이 결국 자신의 세계를 넘어 타인과 만나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한편, 올해로 12회를 맞이하는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책으로 새로고침’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김포시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새로 알다, 새로 잇다, 새로 심다, 새로 펴다’라는 가치를 담아내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김포시가 주관하여 책의 도시 김포를 지식과 지혜를 나누는 중심지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분명히 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독서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펫 프렌들리 독서존’에서는 반려견과 함께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야외 행사장의 특색을 살렸으며, 스탬프 투어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현대산림문학 100선’ 부스에서는 산림과 관련된 책들을 소개하며 국민들이 숲과 더욱 가까워질 기회를 제공했으며, ‘큰글자책 보급 지원 사업’ 부스에서는 일반 도서를 큰 글자로 제작하여 전국 공공도서관에 보급하는 사업을 홍보했다. 2009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을 통해 총 364종의 큰글자책이 보급되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신규 큰글자책이 보급될 예정이라는 소식은 독서 소외 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엿볼 수 있게 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독서대전이 단순한 책 축제를 넘어, 국민 모두가 독서로 하나 되는 거대한 문화 축제임을 보여주었다. 7만 명에 달하는 방문객과 120개의 참여 부스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민 독서 생활화를 위해 기울이는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와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문학이 단순히 책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축제들이 기회가 되어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며, 독서가 우리 삶과 더욱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