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공직 사회의 역할과 자세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7년 전, 공무원 시험 합격을 통해 봉사의 꿈을 꾸었던 한 주무관은 분주한 민원 업무 속에서 점차 처음의 다짐을 잃어버렸음을 자각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감정적인 동요를 넘어, 공직자가 마땅히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하는 김윤서 주무관은 7년 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당시 품었던 ‘처음의 마음’과 현재 자신의 모습 사이의 괴리를 느낀다. 출구 없는 어두운 동굴을 헤매는 듯했던 힘겨운 수험 생활 끝에 합격하면 어떤 어려움에도 웃으며 친절하게 대할 수 있을 것이라 다짐했던 그는, 막상 증명서를 발급하고 전입신고를 받는 일상에 치여 마음이 무너져 있음을 깨닫는다. 아기의 출생신고를 받으며 훈훈함을 느꼈던 때,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공유했던 때를 지나, 일상적인 민원 업무 속에서 감정이 무뎌졌음을 고백한다. 그는 이러한 어려움이 자신만의 것인지 동료들에게 물어보았고, 신규 공무원 시절에는 모두 자신과 같은 마음이었음을 확인하며 깊은 공감대를 형성한다.
이러한 내면의 혼란 속에서 김 주무관은 예기치 못한 경험을 통해 공직자로서의 사명을 다시금 되새기게 된다. 국가적인 재난 상황인 산불이 발생했을 때, 그는 읍장님을 비롯한 동료들과 함께 일요일에도 산불 근무에 나섰다. 비록 마을 지리에 어두워 꼼꼼하게 살피지 못했던 마을들을 순찰하며 위험 요소를 확인하고,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공무원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시금 인식하게 된다.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작은 노력이라도 보태는 것이 공무원의 본분임을 절감한 것이다. 또한, 유관기관에서 이어지는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 행렬 속에서 그는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깨닫는다.
이러한 일련의 경험을 통해 김 주무관은 7년 동안 공직에 몸담으며 깨달은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정의한다.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건너가 서로 만나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존재로서의 공무원을 그려본다. 이제 그는 단순히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던 과거가 아닌,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다진다.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겠다는 그의 다짐은, 무너졌던 처음의 마음을 회복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주민들과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