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된 비상근무체계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문제는 명절 연휴 기간 동안에도 예고 없이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의 운영 제한 및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해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청은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을 204명(60.4%) 증원하고,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를 하루 평균 29대(34.5%) 늘리는 등 구급상황관리 시스템을 대폭 강화했다.
이러한 시스템 강화는 단순히 상담 전화를 더 많이 받기 위한 조치가 아니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대와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기능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 환자들에게는 자택에서 가능한 응급 대처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이고 꼭 필요한 환자들에게 의료 자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4616건) 대비 73.8%나 증가했다. 가장 상담이 많았던 날은 추석 당일로,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휴 기간 동안 병원 방문이나 의료 상담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얼마나 높았는지를 방증한다.
더 나아가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운영하며, 중증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게 이송 가능한 병원을 선정하고 연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되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 응급환자들의 소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경북 지역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한 배뇨 장애 및 의식 저하 소아 환자와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를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선정하여 소방헬기를 통해 긴급 이송하는 데 성공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으며,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함으로써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했다.
소방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히 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구축하려는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과 시스템 개선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에서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